2025/07/12 2

[6편] 축제 후 수익을 이어가는 방법

축제가 끝나도, 매출은 계속될 수 있다 서론 축제는 보통 2~5일이라는 짧은 기간 동안 열리며,그 시간 안에 최대한의 매출을 기대하는 것이 일반적이다.하지만 성공적인 로컬 비즈니스 운영자는 축제 이후에도고객과의 관계를 이어가며 ‘축제 밖의 매출’을 만들어낸다.2025년 기준, 전국의 소도시 축제 부스 참가자 중약 30%만이 축제 이후에도 고객과의 접점을 유지하고 있다.즉, 축제를 일회성 판매로만 인식하면 매출은 거기서 끝나지만,축제를 브랜드 확장의 기회로 삼으면 그 이후가 진짜 시작인 것이다.이번 글에서는 축제 참여 이후에도 수익을 이어가는실제 전략 5가지를 구체적인 예시와 함께 소개한다. 1. ‘한 번 구매자’를 ‘지속 고객’으로 만드는 첫 번째 조건: 접점 정보 수집축제 현장에서 제품을 구입한 고객 ..

축제 2025.07.12

[5편] 축제와 청년 창업의 연결고리

3일짜리 축제가 청년 사업가를 만든다 서론 많은 청년들이 창업을 꿈꾸지만, 실행에 옮기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그 이유는 명확하다.바로 공간 비용, 마케팅 비용, 시장 반응을 볼 수 있는 기회 부족 때문이다.하지만 소도시 축제는 이 모든 한계를 뛰어넘게 만든다.임대료도 없고, 마케팅도 필요 없으며, 바로 현장 반응을 볼 수 있기 때문이다.축제는 단순한 놀거리가 아니라 예비 창업가가 실전 테스트를 할 수 있는 무대다.이 무대에서 제품을 팔아본 경험은, 사무실에서 몇 달을 기획하는 것보다 훨씬 크다.2025년 현재, 전국 243개 지자체 중 150곳 이상이 청년 창업팀을 축제 부스에 무료 제공 중이다.이 숫자는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지역 경제를 회복시키는 방법으로도 주목받고 있다.이 글에서는 축제가 청년 창..

축제 2025.07.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