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9 3

[2편] 소도시 축제가 매출을 만드는 5가지 경로

단기 이벤트로 끝나지 않는 수익 구조 만들기 서론 많은 사람들이 지역 축제를 단지 ‘사람이 많이 오는 잔치’로 생각한다.하지만 정작 그 축제에 참여해본 소상공인, 청년 창업가, 지역 농가들은 **“진짜 돈 되는 기회”**라고 입을 모은다.특히 인구 2만~5만의 소도시에서는 평소 유동 인구가 적은 탓에,축제 기간이 1년 중 매출을 집중적으로 일으킬 수 있는 가장 결정적인 타이밍이 된다.그렇다면, 소도시 축제는 단지 붐비는 행사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어떻게 실질적인 매출로 연결될 수 있을까?이 글에서는 실제 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축제를 통한 매출 발생 경로 5가지를 분석해본다.단기 매출뿐 아니라 장기 고객 확보까지 이어지는 전략을 구체적으로 소개한다. 1. 현장 즉석 판매 – “보여주면, 산다”소도시 축제에서..

축제 2025.07.09

[1편] 왜 ‘축제’가 지역 경제를 움직이는가?

단 3일의 행사가, 지역 상권에 3개월의 숨통을 트이게 한다 서론 많은 사람들에게 ‘축제’는 그저 지역의 흥겨운 행사로 보일 수 있다.하지만 지방 행정가나 지역 상인들에게 축제는 단순한 놀이가 아니다.그것은 ‘매출’이 움직이고, ‘관계’가 생기며, ‘경제’가 살아나는 기회다.특히 비수도권 소도시에서는 연간 수익의 상당 부분이하루 또는 1주일짜리 축제를 통해 발생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2025년 기준, 전국 230여 지자체 중 70% 이상이연 1회 이상 지역 축제를 운영하고 있으며,이 중 절반 이상은 민간 소상공인의 수익 회복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그렇다면 왜 축제가 단순한 이벤트를 넘어서지역 경제의 ‘숨통’이 되고, ‘재도약의 발판’이 되는 것일까?이 글에서는 그 구조를 차분히 풀어보고자 한다. 1..

축제 2025.07.09

[7편], [8편],[9편],[10편] 로컬 창업 정리

지역 공동체와 협업하는 창업 사례 (협동조합, 사회적기업 등)서론로컬 창업은 개인만의 생존이 아니라,지역 주민과 함께 살아가는 구조로 확장되기도 한다.특히 협동조합, 사회적기업, 마을기업 등은지자체와 연계된 보조금, 판로 지원, 공동 브랜딩 효과를 얻을 수 있다.사례 요약‘나주 청년빵집 협동조합’ → 전통시장과 연계해 고용 창출‘양양 마을방송국’ → 로컬 콘텐츠 제작 후 광고 수익‘포항 돌봄협동조합’ → 여성 창업과 일자리 창출 동시 해결 지방에서 창업자금 마련하는 현실적인 방법지원 유형설명청년 정착금월 최대 50만 원, 2년 지원 (지자체별 다름)귀촌 창업 지원금농림부·소상공인진흥공단 등로컬 창업 공모전시·군 단위 + 민간 기업 협력 프로그램소상공인 시장진흥기금최대 5,000만 원 융자 가능, 금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