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제가 끝나도, 매출은 계속될 수 있다
서론
축제는 보통 2~5일이라는 짧은 기간 동안 열리며,
그 시간 안에 최대한의 매출을 기대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성공적인 로컬 비즈니스 운영자는 축제 이후에도
고객과의 관계를 이어가며 ‘축제 밖의 매출’을 만들어낸다.
2025년 기준, 전국의 소도시 축제 부스 참가자 중
약 30%만이 축제 이후에도 고객과의 접점을 유지하고 있다.
즉, 축제를 일회성 판매로만 인식하면 매출은 거기서 끝나지만,
축제를 브랜드 확장의 기회로 삼으면 그 이후가 진짜 시작인 것이다.
이번 글에서는 축제 참여 이후에도 수익을 이어가는
실제 전략 5가지를 구체적인 예시와 함께 소개한다.
1. ‘한 번 구매자’를 ‘지속 고객’으로 만드는 첫 번째 조건: 접점 정보 수집
축제 현장에서 제품을 구입한 고객 대부분은 단발성 소비자다.
이들을 지속적인 고객으로 전환하려면 먼저 고객 접점 정보를 확보해야 한다.
실행 전략
QR 코드 활용 | 제품 포장에 스마트스토어 / 인스타그램 링크 삽입 |
SNS 팔로우 유도 | "스토리 리그램 시 무료 샘플 증정" 이벤트 운영 |
명함 삽입 | “다음 방문 시 10% 할인 쿠폰” 함께 제공 |
후기 작성 유도 | 후기 남기면 재구매 할인 or 무료배송 혜택 제공 |
🎯 핵심은 구매자에게 ‘계속 연락할 수 있는 명분’을 만드는 것이다.
2. 축제 직후 48시간 안에 ‘감사 메시지’ or 혜택 알림 발송
축제에서 만난 고객과의 연결을 유지하려면
구매 직후 2일 안에 가벼운 후속 메시지를 보내는 것이 효과적이다.
📍 메시지 예시:
- “○○축제에서 만난 ○○입니다. 좋은 기억으로 남았길 바랍니다 :)
오늘 저녁까지 재구매 10% 쿠폰 드려요!” - “축제에선 짧게 인사드렸지만,
지금부터는 온라인으로 자주 소식 전할게요!”
✅ 이 짧은 메시지는
판매자가 '사람'이라는 인식 → 브랜드 신뢰로 이어진다.
3. 리피트 상품 or 계절 한정 상품으로 고객 재유입
축제 기간에 인기 있었던 상품이 있다면,
비슷한 성격의 **‘계절형 한정 제품’**을 기획해 고객 재유입을 유도할 수 있다.
예시 전략:
고구마 말랭이 | 고구마청, 고구마 수프 키트 |
수제 한지엽서 | 추석 선물용 엽서 세트 |
핸드메이드 팔찌 | 탄생석 기념 팔찌 (생일 마케팅 활용) |
💡 고객에게 “지금 아니면 못 산다”는 메시지가 명확할수록
재구매 전환율은 높아진다.
4. 축제 후기 콘텐츠 → 2차 바이럴 매출 유도
축제 자체를 하나의 콘텐츠로 만들면,
SNS 유입을 통한 추가 매출 창구를 만들 수 있다.
🎯 콘텐츠 예시:
- “3일간 축제에서 가장 많이 팔린 상품은?”
- “축제 손님이 말한 ‘가장 맛있었던 메뉴’ 후기 모음”
- “○○축제에서 받은 감동 후기 TOP3”
이런 포스트는 읽은 사람이 바로 구매로 넘어가기 쉬운 구조다.
특히 블로그, 인스타그램, 네이버 포스트 등에서
‘지역 축제 + 상품 키워드’가 자연스럽게 노출된다.
5. 지역민 중심 ‘장기 고객화’ 전략: 현장 재방문 유도
축제에 온 고객의 절반 이상은 인근 읍·면 단위 거주자다.
그들은 차를 타고 30분 이내 거리에 살고 있기 때문에
적절한 안내만 해도 재방문을 유도할 수 있다.
📍 실행 방법:
- 명함 뒷면에 “다음 ○○시장 장날 할인 안내”
- 방문 시 소정의 선물 증정 쿠폰 동봉
- 지역 행사 or 플리마켓 일정 문자 발송 (수신 동의 시)
✅ 이렇게 되면 축제는 단발성 장터가 아니라,
지역 단골을 만드는 브랜드 입구가 된다.
결론: 수익은 축제 현장에서 끝나지 않는다
많은 창업자들이 축제 부스에서 매출이 나지 않으면 실망한다.
또는, 판매가 잘 됐어도 축제가 끝나면 매출도 끝났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정말 현명한 운영자는
축제를 브랜드의 ‘기억 생성 장치’로 삼고,
그 기억이 사라지기 전에 행동으로 이어지는 구조를 만들어낸다.
✅ 접점 확보
✅ 후속 메시지
✅ 시즌 제품
✅ 후기 콘텐츠
✅ 단골 전환
이 5가지를 실천하면
하루에 그치지 않고, 한 달짜리 매출 구조를 만들 수 있다.
'축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8편] 지자체 축제 지원금 구조와 민간 연계 방식 (2) | 2025.07.14 |
---|---|
[7편] 마을 축제 × 로컬 콘텐츠 브랜드화 사례 (3) | 2025.07.13 |
[5편] 축제와 청년 창업의 연결고리 (3) | 2025.07.12 |
[4편] ‘지역 특산물’과 축제 매출의 연관성 (2) | 2025.07.11 |
[3편] 축제 기간 소상공인 수익 구조 분석 (2) | 2025.07.10 |